Linux 외부(인터넷)으로 핑(ping)이 안나간다면?
1. 물리적 장치를 확인한다.
- 랜선이나 전원 코드가 잘 꼽혀있는지 확인
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를 확인한다.(NIC)
확인방법은 3가지가 있다.
- nmcli (Network Manager Command-Line Interface)
nmcli를 사용하면 Network Manager 및 네트워크 상태, Linux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장치 및 연결을 관리하고 구성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명령어이다. 새 네트워크 연결 만들기, 기존 연결 수정, 네트워크 장치 관리와 같은 네트워크 구성을 위한 포괄적인 기능을 제공한다. 명령줄 작업을 선호하는 사용자에게 유용한 도구이다. 시간이 절약되고 자신감이 생기며 스크립트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Linux 서버 네트워킹 문제를 해결하고 기능을 신속하게 복구하기 위해 사용하는 첫 번째 도구이다.
nmcli dev status (사용 가능한 모든 장치의 상태 표시)
nmcli dev show <장치 이름(ex.ens33)> (해당 장치의 구성 세부 정보 출력)
nmcli con show (사용 가능한 모든 연결의 상태를 표시)
nmcli con show ens33 <연결 이름> (해당 연결의 세부 정보 출력)
nmcli con add con-name <연결 이름> ifname <인터페이스 이름> type <연결 타입>
<연결 이름>을 원하는 연결 이름으로, <인터페이스 이름>을 사용하려는 인터페이스 이름으로, <연결 타입>을 생성하려는 연결 유형(예: 이더넷, wifi 등)으로 작성한다.
nmcli con up <연결 이름> (해당 이름의 연결이 활성화 된다.)
nmcli con down <연결 이름> (해당 이름의 연결이 비활성화)
nmcli con edit <연결 이름> (해당 연결의 구성을 변경할 수 있는 대화형 편집기가 열린다.)
nmcli con mod <이름> ipv4.addresses <ip/24> ipv4.gateway [gateway ip] ipv4.dns [dns ip]
<이름>을 수정하려는 연결로 바꾸고 <IP/24>로 원하는 IP 주소와 서브넷 마스크로 바꾼다. 게이트웨이와 DNS서버도 등록 가능
- nmtui (Network Manager Text User Interface)
nmtui는 Network Manager를 사용하는 Linux에서 연결을 관리할 수 있는 간단한 TUI(Text User Interface) 화면을 제공한다. nmcli의 기능을 화면으로 볼 수 있는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그래픽 화면을 제공하기 때문에 nmcli 명령줄 입력을 선호하지 않는 사용자에게 보다 쉽고 간단하게 네트워크 구성을 할 수 있도록 편의를 제공해준다.
- vi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ns33
- TYPE= 여기에 이더넷 유형이 있습니다. 와이파이, 팀, 본드 등을 가질 수 있습니다.
- BOOTPROTO= 값이 "dhcp”인 경우 dhcp 서버에서 동적 IP를 가져옵니다. 값이 "static"인 경우 동적 IP를 사용하지 않고 고정 IP를 할당할 수 있습니다.
- NAME= 인터페이스 명이며, 장치명을 뜻합니다.
- DEVICE= 이 프로필과 연결된 네트워크 장치의 이름입니다.
- ONBOOT= 기본 값은 "no"로 설정되어 있으며, "yes"로 변경 할 경우 부팅 시 컴퓨터가 이 프로필을 읽고 기기에 설정에 둔 고정IP를 할당하려고 시도함을 의미합니다.
- PREFIX= 서브넷 마스크 값, 24는 255.255.255.0을 의미합니다. 바이너리 형식을 적어두면 서브넷 마스크를 더 잘 이해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값 16, 24, 26은 처음 16, 24 또는 26비트가 각각 1이고 나머지는 0임을 의미하며, 정확히 네트워크 주소와 할당할 수 있는 IP 범위를 정의합니다. 즉 IP를 사용할 수 있는 호스트는 256명입니다.
- GATEWAY= 게이트웨이 IP, VMware NAT Gateway IP
- IPADDR은 프로필에 할당하는 고정 IP입니다.
- DNS1, DNS2= 사용할 두 개의 DNS 서버, 보통 168.126.63.1(KT DNS 서버) / 8.8.8.8(구글 DNS 서버)를 입력합니다.
vi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를 변경해준 뒤에는
systemctl restart network 명령어 입력을 통해 네트워크 연결을 최신화해줘야 한다!
'주요 개념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TCP란? 3-Way Handshake와 4-Way Handshake의 차이점은? (1) | 2023.11.25 |
---|---|
NAT&PAT, 사설 IP, Class, CIDR, 서브넷 개념 정리 (0) | 2023.11.07 |
네트워크 OSI 7 Layer (2) | 2023.10.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