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에서 프로세스를 확인하려면 PS 명령어 입력
- ps : Process Status (현재 실행 중인 프로세스 목록을 보여줌)
- ps -e : 모든 프로세스를 출력한다.
- ps -f : 풀 포맷을 보여줌(UID, PID, PPID 등)
PID(Process ID)
PID는 운영체제에서 프로세스를 구분하기 위해서 부여받은 번호를 의미합니다.
PPID(Parent Process ID)
PPID는 해당 프로세스를 만든 부모 프로세스의 PID를 의미합니다.
보통 프로그램을 실행한 프로세스가 PPID로 할당됩니다.
예를 들어서 쉘프롬프트에서 명령어을 통해 하나이 프로세스를 실행한다면 해당 프로세스의 PPID는 쉘의 PID가 됩니다.
SID(Session ID)
세션(Session)은 여러 프로세스의 묶음을 의미합니다.
SID는 이런 세션을 식별하기위해서 부여되는 번호를 의미합니다.
UID(User ID), GID(Group ID)
해당 프로세스를 실행한 사용자의 정보를 나타냅니다.
UID는 사용자의 아이디를 나타내며 0~32767의 숫자로 나타내고 0은 슈퍼(root)유저를 나타냅니다.
그리고 리눅스에서는 사용자를 그룹으로 묶을 수 있는데 이 그룹을 구분지을 수 있는 ID가 GID입니다.
- ps -l : 긴 포맷으로 보여줌
- ps -p : 특정 PID(프로세스 ID)의 프로세스를 보여줌.
- ps -u : 특정 사용자의 프로세스를 보여준다.
'주요 개념 >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리눅스 VI / VIM 편집기 (1) | 2023.11.30 |
---|---|
VMware Centos7 Nginx 설치하기 (0) | 2023.11.13 |
사용자 계정 (0) | 2023.06.14 |